사는얘기 내 생애 최악의 이웃
페이지 정보
작성자 가고싶다아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9건 조회 4,950회 작성일 24-01-23 01:18본문
그런데 이것이 시작이었습니다.
소음이 해결 되지않아 로스만에서 실리콘 귀마개를 사용하며 지내고있었는데 또다른 문제가 생긴겁니다. 바로 냄새!! 이 사람들이 집에 주방이 있는데 집에서 요리를 안하고 같은 층에있는 공용주방을 이용하며 주방문을 열어놓고 자기네 집문도 열어놓으며 온 복도에 자기네 음식냄새를 풍겨 다니고 있는겁니다. 이 냄새가 복도에 진동하는것도 지독한데 냄새가 제 집까지 들어와 옷이며 화장실 에 있는 수건이며 냄새가 다 배었습니다. 집 창문을 열거나 화장실에있는 환풍기가 돌아가면 냄새가 바람따라오는건지 더 심해지더군요..복도에 쓰레기장으로 통하는 이중문이 있어 안쪽 문 하나를 여는것만으로도 신선한 공기가 들어와 집에 냄새가 안나서 그렇게 며칠을 보냈습니다. 그리고 정중하게 에 음식냄새가 집에 들어온다. 집에 향초와 디퓨저가 있지만 옷에 냄새가 밴다고 음식할때 복도문을 열어달라고 부탁드린다고 독일어와 영어로 쪽지를 복도에 붙였습니다. 그런데 어느날 이웃이 왜 복도 문을열어두냐고 춥다고 하더군요. 저는 그사람들에게 독일어 하냐고 물어보고 못한다고 하길래 번역기를 써가며 영어로 설명을 해주었습니다. 그런데...웃더라고요..아니 배려를 했는데도 배려를 모르는 그런 태도였습니다. 그날 이후 저는 문을 열고 그사람들은 닫는 그런 나날이 이어졌습니다. 그러다 하우스마이스터를 만나 이야기를 하니 제 집에 문틈에 스펀지를 덧붙여주고 냄새나면 복도문 열어놓으라고 하더군요. 그 스펀지는 왜한건지..냄새는 똑같이 계손들어오고 냄새때문에 잠에서 깬건 생에 처음이었습니다. 이집은 매일 밤 10시에 음식을 하면서 파티가 시작되더군요. 몇번 잠에서 깬채로 복도문을 열어달라 하는데 왜 자꾸 여냐고 그러면서 하루는 언쟁이 높아졌습니다. 아무리 설명을해도 영어로 써붙여놓았다고 종이를 가리키며 말했는데 자기네는 자기집에서 요리안한다 너네집 창문을 열어라 복도와 주방은 공용구역이니 자기네가 뭘하든 신경쓰지마라 영어못하냐 영어로해라 이런식으로 나와 저도 모르게 여기 독일이라고 소리지르고 집으로 들어왔습니다.
남한테 평생 큰소리낸적없고 화내는 법은 아냐는말 듣고 살았는데 여기서 화내는걸 배우게 되더군요. 그 이후로 배가 아프고 집에 들어올때 집 건물이 보이기시작하면 심장박동이 빨라지고 얼굴이 빨개지며 손이 떨립니다. 그 이후로 이웃과 복도에서 마주치면 제가 집에들어가거나 나갈때까지 그 다섯명이 빤히 쳐다보고 밤엔 더 보란듯이 집 문열고 다니며 시끄럽게하고 티비와 노래소리를 더 크게 틀더군요. 오늘 하우스마이스터한테 장문으로 조치를 취해달라고 쓰고 그러겠다는 답도 받았지만 퀸디궁도 전에 이미 내서 저는 3월에 나가는 상황이라 해결해줄 기미가 보이지않아 내일 하우스마이스터한테 1월말에 나간다고 하고 오늘 집보고 온집으로 바로 나갈 생각을 하고있습니다. 2월엔 이중으로 돈이 나가겠지만 건강을 생각하면 돈드는게 낫더군요.
처음에 얘기할땐 아이도 옆에있고 해서 미안해하면서 영어로 음식할때 복도문을 열어줄수 있겠냐 음식냄새 때문에 나 잠을 못잔다고 했는데 애엄마가 집에서 요리 안한다고 그러고 아이도 자기네말로 뭐라얘기하면서 소리내서 웃으면서 집에 가더군요. 그 이후에 한번 아이가 저한테 집에서 요리안한다고 소리지르는걸 보며 예전부터 잠시나마 생각하고있던 독일에서 아이들을 가르쳐보고 싶다는 저의 생각을 사라지게 만들었습니다.
이렇게 장문을 쓰는게 너무 오랜만이라 두서없이 쓴거같네요..ㅠ 오늘도 로스만에서 향초와 페브리즈를 사갖고와서 뿌리고 피며 집 퀸디궁에 대해 찾다 다른분들이 이웃에 대해 쓴거 보며 저도 끄적여 보았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모두 독일생활 힘내세요!!
댓글목록
Hermine님의 댓글
Hermine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밤에 음악 크게 틀고 시끄럽게 굴면 경찰부르세요. 어차피 곧 이사 나갈거고 다시 볼 사람들 아니니까요.
- 추천 8
한국맘in독일님의 댓글
한국맘in독일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경찰 부를 수 있어요~ 그것만이 답인듯...
- 추천 1
winterkid님의 댓글
winterkid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고생이 많으셨네요
귀찮더라고 경찰부른다고 경고를 하시고 주의를 줬어야합니다
소음은 그렇다 치고 음식냄새는 어떻게 해결 방법이 없습니다
심신의 안정을 위해 이사 잘 하시는 겁니다
- 추천 2
흑룡님의 댓글
흑룡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인도나 파키스탄이나 앜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인도카레 얼마나 해었먹는지 진짜 카레 냄새가 벽지에 배여서 진짜 환장하는데 그거... 얘들은 또 좀 시끄러움.... 길가에서도 릭카들 자신들이 거기 있다는 걸 알리기 위해서 이유없이 크락션 울리는데 그게 또 그 나라 문화라서...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독일 진짜 개판되어가는데...
밤 22시부터 06시 사이에 소음은 ordnungsamt에 신고하시면 되시고, 냄새는 하아... ㅋㅋㅋ 관련법규가 아직 없는걸로 아는데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 추천 1
알컴님의 댓글
알컴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암트에도 신고하세요. 제가 알기로는 법적으로 거주지에 한 사람당 배정받아야 하는 최소 공간이 있습니다. 두 명이면 최소 26크바인가 그래요. 그것보다 작으면 안멜둥이 안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래서 저도 독일인에게 이 얘기를 듣고 그 규격에 맞는 큰 집을 구하려고 노력했거든요. 20크바에 다섯명이라는게 말도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좀 더 알아보시고 암트에 신고하세요. 만약 이게 맞다면 집주인이나 하우스마이스터에게도 문제가 생길 겁니다. 그럼 글쓴 분 입장에서는 걔네가 집 관리 안한 것에 대해 책임을 지게 할 수 있으니 약간 속시원한 복수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만약 그들이 세입자의 수를 몰랐다 하면 세입자들이 집주인을 속인 거죠. 그럼 걔네한테 큰 문제가 생길 겁니다. 그런 시민의식 없는 사람들은 대화로는 안되니 법으로 상대해야 합니다. 윗분들이 말씀하신대로 밤 10시 이후 소음은 경찰에 신고하세요. 매일 그러면 매일 신고하시면 됩니다. 소음 기록 프로토콜로 써서 집주인에게도 공식으로 우편 보내셔도 좋습니다. 독일에서는 좋은 게 좋은 거라고 가만히 있으면 아무 것도 해결되지 않고 난리를 쳐야 해결이 됩니다. 참 피곤하지요.
알컴님의 댓글의 댓글
알컴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Volljährige – 12 m²
ab Vollendung des 6. Lebensjahres – 12 m²
ab Vollendung des 2. Lebensjahres bis zum 6. Lebensjahr 10 m²
BIS Vollendung des 2. Lebensjahres keine eigene Wohnfläche
이러는데 이건 베를린 기준인 것 같습니다. 아이가 6세 이상이라면 아이도 12크바로 계산해야 하네요. 세 아이 모두 6세 이상이라면 그 집이 60크바는 돼야 안멜둥 등록이 가능했을 겁니다. 크기는 주마다 다른 것 같으니 검색 좀 해보시고요. 도시마다 법원해서 해주는 무료 법률 상담이 있습니다. 거기도 가보시길 바랍니다.
근데 전에 찾아본 바로는 음식 냄새는 아무런 법적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건물에 비독일인들이 이사오며 건물에서 음식냄새가 심하게 난다고 월세인하 소송을 한 경우가 있는데요. 인하 불허가 났습니다. 요리는 개인의 일상적인 생활이라서 그렇습니다. 요리 냄새는 문화적인 부분이고 문화적인 차이가 있다고 잘못이라고 할 수 없다는게 독일 정부 입장인가 봅니다. 불편하시겠지만 이 부분은 신고하실 때나 법률 상담 받으실 때 언급 안하시는 펀이 좋습니다. 어쩌라고 식 반응을 하며 인종차별 하는 사람 취급할 겁니다. 야간 소음 신고와 거주 면적, 안멜둥 신고로만 사이다 얻어 보세요.
알컴님의 댓글의 댓글
알컴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아까 등록한 댓글이 잘 안 올라갔네요.
원래 두번째에 달았던 댓글 내용입니다.
독일의 거주공간에 대한 최소 크기 규정은 "거주공간 최소 표준 규칙 (Wohnraum-Mindeststandard)"이라고 부릅니다. 일반적으로 1인 가구의 경우 14㎡이 필요하고, 추가 주거자마다 10㎡씩 더 필요하므로(부모 14㎡ + 3명의 자녀 각각 10㎡)총 54㎡이 필요합니다.
그러나 도시별로 또는 특정 지역에 따라 이러한 규정이 다를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규정은 해당 지방의 법률이나 규정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독일의 거주공간 최소 크기 규정은 법적인 규정으로써 시행됩니다. 이 규정을 위반하는 경우, 해당 건물은 건축 및 건설 규정에 대한 위반으로 간주될 수 있으며, 이는 벌금이나 건물의 사용 중지 등의 처벌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임차인이 이러한 규정을 위반하는 주택을 임대한 경우, 임차인은 법적 책임을 지게 될 수 있습니다.
독일에서는 주거 관련 사항을 신고하고 처리하는 단체를 "Bauaufsichtsamt" 또는 "Bauamt"라고 부릅니다.
신고는 여기에 하시면 되겠습니다.
보아하니 거주공간 규정을 위반했거나 안멜둥한 곳에 실제로 거주하지 않고 있는 것 같습니다. 허위로 안멜둥을 한 경우 Aufenthalts- und Aufenthaltsregelungen 위반입니다. 이 경우도 외국인에게 큰 문제가 될 겁니다. 이 법 위반도 거주 관련이므로 같은 암트에 신고하시면 됩니다.
정리하자면, 그 가족은 Wohnraum-Mindeststandard와 Aufenthalts- und Aufenthaltsregelungen 모두를 위반했을 확률이 큽니다.
하우스마이스터에게 말했는데도 해결이 안 된 것은 집주인에게도 책임이 있는 거지요. 보통 네벤코스텐은 건물 주민 전부가 같이 내고 남은 돈을 돌려받는데 이게 두당 측정됩니다. 압레히둥 받아보시면 정확한 금액 나옵니다. 즉 글쓴 분에게도 금전적 피해가 가고 있는 겁니다. 만약 이들이 집주인 모르게 그 집에 바글바글 살고 있다면 글쓴 분이 그 가족의 공과금을 같이 내주고 있는 겁니다. 하우스마이스터나 집주인이 그걸 관리해야 하는데 그런 관리 소홀도 법적으로 책임을 물을 수 있습니다. 돈이 걸렸고 애초에 그런 공간에 그렇게 많은 사람이 살고 있으면 이웃은 평안하게 살 수가 없거든요. 네, 독일 법에 실제로 평안하게 살 권리가 명시돼 있습니다. 미테 깎을 수 있어요. 알아보세요.
전 왠지 그들이 다섯명분의 네벤코스텐을 내고 있지 않을 것 같습니다. 저렇게 바글바글 지인들 가족들 끌고 와서 불법으로 사는 것 때문에 외국인 세입자 안 받으려는 집주인도 있을만큼 독일에선 흔한 분쟁입니다.
아직 퀸디궁 기간 남으셨다고 하지만 남은 기간 월세를 내지 않을 방법이나 적게 낼 방법도 있을 것 같으니 mieterverein과 법원 법률 상담 꼭 받아보세요.
알컴님의 댓글의 댓글
알컴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찾아보니 냄새로 인한 주거 환경의 문제를 신고할 때에는 "주거 환경의 혐오 (Störung des Wohnraumfriedens)"으로 신고할 수는 있다고 합니다. 너무 속 상하시면 암트에 신고하실 때 이 부분 언급해보세요.
글 다시 읽어보니 공황장애 증상도 같이 생긴 것 같은데 신고라도 속 시원하게 하셔야 속이 좀 나아지지 않을까 하네요. 일하고 계신다고 하니 공보험 있으실 것 같은데 116117 전화하셔서 긴급 정신과 상담도 받아서 기록으로 남겨두세요. 뭐가 됐든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 추천 1
구모님의 댓글
구모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그정도라면 경찰을 부르는게 맞네요.. 그럴때는 경찰을 부르셔야할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