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 쉴러-아름다움(III)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서동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조회 7,556회 작성일 10-02-18 09:12본문
사람이란 무엇인가?
질문이 좀 그렇긴 하다. 일단 던져놓고 봐도 그 황당함을 치우기 힘들다. 시간과 장소, 또한 개인의 경험과 성격에 따라 천차만별의 대답을 들을 수 있을 게다. 허나 까짓 어떠랴, 쉴러가 이에 대해 어떠한 대답을 던졌는가를 이미 알고 있으니 말이다. 고리타분한 내용이긴 하나 그래도 글의 전개에 필요한 몫을 해내기에 울며 겨자먹기식으로 말을 끈다. 사람이란, 간단히 말해, 원천적으로 모순된 존재라고 그는 말한다. 두 가지 원천적으로 이질적인 덩어리들이 한 뭉치를 이루니 그렇다: 감성과 이성. 우리말로 몸과 마음이라고 할까, 육체와 정신이라 해도 괜찮고. 문제는 사람이라는 뭉치가 하나의 통일체를 이루어야 한다는 게다. 그렇지 않으면 미친 사람이 된다. 몸과 마음이 전혀 따로 노니 그렇다. 나이가 들어 몸이 마음대로 움직여주지 않는 경우 또한 이와 엇비슷한 경우지 싶다. 그래 어떻게 하면 몸과 마음이 한데 어울려 조화스런 모습을 보이는가에 대한 답을 찾아야 한다. 이런 노력은 물론 동서양을 막론하고 오래 전부터 적지 아니 시도되고 있었다. 서양철학사에서 흔히 엿듣는 육-혼의 문제가 이를 대변한다. 더불어 고대 이후 유럽사상사에서 끊임없이 이 두 영역을 서로 잇고자 한 흔적을 어렵지 않게 본다. 둘 사이에 벌어진 틈을 메꾸어 하나의 통일체를 이룸을 최소한 이론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시도였다.
잠깐 옆길로 샌다. 우리에게도 이런 고민을 한 흔적이 있다. 전통 선가를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북쪽에서 내리보아 두 부류로 나누어 좌방과 우방으로 부르는 바, 좌방선가에서는 몸을 통해 마음으로 이어지는 수행길에 들어가며 참사람됨을 이루고자 했으며 우방선가에선 같은 목표를 바라보며 그 반대길을 걷고자 했다. 예컨대 괴력을 뽐내는 차력사들은 좌방의 아류이며 조선시대 기득권층의 일부가 추구했던 바는 우방의 수행이었다.
쉴러에게는 물론 이러한 수행학의 전통이 없었다. 그에겐 대신 다른 나눔의 전통이 있었다. 자신이 지향하고자 하는 목표를 미래에서 새로 찾느냐 아니면 과거에 놓여 있어 되찾자 외치는가 하는게다. 그는‘새로운 하나'를 만드는 일을 자신이 내놓은 미학적 교육이 해내야 할 최고 과제로 삼았다. 단지 그렇다고 원천적으로 서로 상이한 두 성질들이 이 ‘새로운 하나' 속에서 사라진다고는 보지 않고 둘 다 나름대로의 특이함을 유지하며 새로운 테두리 내에서 섞여 뭉친다는 주장이다. 달리 말해 그에 의하면 사람은 감성적 상태에서 미학적 교육을 통해 이성적 상태로 이끌어져야 하는데 그렇다고 이런 교육을 제대로 받은 사람은 감성의 찌꺼기를 말끔히 씻었다기 보다는 오히려 감성이 이성에 의해 제대로 통제되고 있음을 뜻하고자 했다. 미학적 인간이란 따라서 그에게 감성적도 아니요 이성적도 아니고 감성적이고 또한 동시에 이성적인 인간을 말한다.
바로 이 점에서 그는 사람이 누릴 수 있는 최고의 가치를 엿보고자 했다 - 자유 말이다. 감성의 소용돌이에 휩싸여 외부요소들에 종속되지 않고 이성을 통해 자기통제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그리니 말이다. 미학적 인간이란 따라서 자유를 최대한 누릴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사람을 뜻한다. 그는 이러한 자유를 ‘현상의 자유'라 말하며 칸트 도덕철학의 자유와 다름을 주장하는 용기를 보인다. 감성 부분을 제외하고 이성이라는 형식적 내지는 도덕적 규칙성이라는 틀 속에서 내비칠 수 있는 자유가 칸트의 자유라 한다면 자기의 자유는 감성 부분까지 아울러 고려한 소위 ‘감성화된 자유'라 외치며 이를 자신의 미학을 통해 이론적 뒷받침을 하고자 했던 게다. 나아가 칸트의 자유 개념보다 자신의 그것이 오히려 사람 본연의 모습에 걸맞는 개념이라 여기며 감성이 도외시된‘철학자'가 아니라 감성을 어쨌거나 벗어날 수 없는‘사람'이 철학함의 주대상이 되어야 한다는 말을 서슴치 않는다.
아름다움이란 개념에 자유라는 개념을 연결시키며 이를 감성과 이성의 통일체로 여기고자 하는 쉴러의 미학이다. 언뜻 듣기에 그럴 듯하게 들리는 그의 말 속에 그럼 헛점 내지는 약점은 없을까? ‘현상의 자유'라는 개념에 자유가 남발되고 있는 모습을 엿본다 하면 ‘철학자'가 ‘사람'에게 내비치는 엉뚱함일까? 이를 한번 알아보자.
질문이 좀 그렇긴 하다. 일단 던져놓고 봐도 그 황당함을 치우기 힘들다. 시간과 장소, 또한 개인의 경험과 성격에 따라 천차만별의 대답을 들을 수 있을 게다. 허나 까짓 어떠랴, 쉴러가 이에 대해 어떠한 대답을 던졌는가를 이미 알고 있으니 말이다. 고리타분한 내용이긴 하나 그래도 글의 전개에 필요한 몫을 해내기에 울며 겨자먹기식으로 말을 끈다. 사람이란, 간단히 말해, 원천적으로 모순된 존재라고 그는 말한다. 두 가지 원천적으로 이질적인 덩어리들이 한 뭉치를 이루니 그렇다: 감성과 이성. 우리말로 몸과 마음이라고 할까, 육체와 정신이라 해도 괜찮고. 문제는 사람이라는 뭉치가 하나의 통일체를 이루어야 한다는 게다. 그렇지 않으면 미친 사람이 된다. 몸과 마음이 전혀 따로 노니 그렇다. 나이가 들어 몸이 마음대로 움직여주지 않는 경우 또한 이와 엇비슷한 경우지 싶다. 그래 어떻게 하면 몸과 마음이 한데 어울려 조화스런 모습을 보이는가에 대한 답을 찾아야 한다. 이런 노력은 물론 동서양을 막론하고 오래 전부터 적지 아니 시도되고 있었다. 서양철학사에서 흔히 엿듣는 육-혼의 문제가 이를 대변한다. 더불어 고대 이후 유럽사상사에서 끊임없이 이 두 영역을 서로 잇고자 한 흔적을 어렵지 않게 본다. 둘 사이에 벌어진 틈을 메꾸어 하나의 통일체를 이룸을 최소한 이론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시도였다.
잠깐 옆길로 샌다. 우리에게도 이런 고민을 한 흔적이 있다. 전통 선가를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북쪽에서 내리보아 두 부류로 나누어 좌방과 우방으로 부르는 바, 좌방선가에서는 몸을 통해 마음으로 이어지는 수행길에 들어가며 참사람됨을 이루고자 했으며 우방선가에선 같은 목표를 바라보며 그 반대길을 걷고자 했다. 예컨대 괴력을 뽐내는 차력사들은 좌방의 아류이며 조선시대 기득권층의 일부가 추구했던 바는 우방의 수행이었다.
쉴러에게는 물론 이러한 수행학의 전통이 없었다. 그에겐 대신 다른 나눔의 전통이 있었다. 자신이 지향하고자 하는 목표를 미래에서 새로 찾느냐 아니면 과거에 놓여 있어 되찾자 외치는가 하는게다. 그는‘새로운 하나'를 만드는 일을 자신이 내놓은 미학적 교육이 해내야 할 최고 과제로 삼았다. 단지 그렇다고 원천적으로 서로 상이한 두 성질들이 이 ‘새로운 하나' 속에서 사라진다고는 보지 않고 둘 다 나름대로의 특이함을 유지하며 새로운 테두리 내에서 섞여 뭉친다는 주장이다. 달리 말해 그에 의하면 사람은 감성적 상태에서 미학적 교육을 통해 이성적 상태로 이끌어져야 하는데 그렇다고 이런 교육을 제대로 받은 사람은 감성의 찌꺼기를 말끔히 씻었다기 보다는 오히려 감성이 이성에 의해 제대로 통제되고 있음을 뜻하고자 했다. 미학적 인간이란 따라서 그에게 감성적도 아니요 이성적도 아니고 감성적이고 또한 동시에 이성적인 인간을 말한다.
바로 이 점에서 그는 사람이 누릴 수 있는 최고의 가치를 엿보고자 했다 - 자유 말이다. 감성의 소용돌이에 휩싸여 외부요소들에 종속되지 않고 이성을 통해 자기통제가 이루어지는 모습을 그리니 말이다. 미학적 인간이란 따라서 자유를 최대한 누릴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사람을 뜻한다. 그는 이러한 자유를 ‘현상의 자유'라 말하며 칸트 도덕철학의 자유와 다름을 주장하는 용기를 보인다. 감성 부분을 제외하고 이성이라는 형식적 내지는 도덕적 규칙성이라는 틀 속에서 내비칠 수 있는 자유가 칸트의 자유라 한다면 자기의 자유는 감성 부분까지 아울러 고려한 소위 ‘감성화된 자유'라 외치며 이를 자신의 미학을 통해 이론적 뒷받침을 하고자 했던 게다. 나아가 칸트의 자유 개념보다 자신의 그것이 오히려 사람 본연의 모습에 걸맞는 개념이라 여기며 감성이 도외시된‘철학자'가 아니라 감성을 어쨌거나 벗어날 수 없는‘사람'이 철학함의 주대상이 되어야 한다는 말을 서슴치 않는다.
아름다움이란 개념에 자유라는 개념을 연결시키며 이를 감성과 이성의 통일체로 여기고자 하는 쉴러의 미학이다. 언뜻 듣기에 그럴 듯하게 들리는 그의 말 속에 그럼 헛점 내지는 약점은 없을까? ‘현상의 자유'라는 개념에 자유가 남발되고 있는 모습을 엿본다 하면 ‘철학자'가 ‘사람'에게 내비치는 엉뚱함일까? 이를 한번 알아보자.
추천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