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동포 미디어 베를린리포트
커뮤니티 새아리 유학마당 독어마당
커뮤니티
자유투고
생활문답
벼룩시장
구인구직
행사알림
먹거리
비어가든
갤러리
유학마당
유학문답
교육소식
유학전후
유학FAQ
유학일기
독어마당
독어문답
독어강좌
독어유머
독어용례
독어얘기
기타
독일개관
파독50년
독일와인
나지라기
관광화보
현재접속
261명
[자유투고] 자유·토론게시판 - 타인에 대한 약간의 배려 말고는 자유롭게 글을 쓰시면 됩니다. 어떤 글이든지 태어난 그대로 귀하지 않은 것이 없으니 <열린 마음>(타인의 흠결에 대해 관대하고 너그러움)으로 교감해 주세요. 문답, 매매, 숙소, 구인, 행사알림 등은 해당주제의 다른 게시판을 이용하세요. 이런 글은 게시판 사정에 따라 관용될 때도 있지만 또한 관리자의 재량으로 이동/삭제될 수도 있습니다. 펌글은 링크만 하시고 본인의 의견을 덧붙여 주세요.

친시님의 의문에 답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겨레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댓글 4건 조회 1,100회 작성일 15-07-16 13:51

본문


"있지도 않은 실학의 계보를 다산-김정희-백파로 잇는 행위는 학문적으로 지나치게 무책임한 억지 아닌지요? " 라고  하시는 친시님의 의문에 대한 답변으로 아래의 글을 드립니다.


 
한국학(韓國學)의 큰 스승 석전 박한영 스님

                -한국불교 근대화의 문을 연 석전 스님-
          -100년 전에 치세의 근본이 소통에 있음을 역설-

일제의 폭력과 수탈로 나라와 겨레가 신음하며 칠흑같은 어둠 속을 헤매던 그 때, 그 어둠에 굴복하지 않고 우리 겨레를 빛이 보이는 미래로 이끌었던 세 분의 스님이 계셨다. 바로 만해스님과 용성스님, 그리고 석전스님이십니다.
해인사주지 이회광과 불교신문, 동국대학의 권상로같은 자들은 아예 친일의 길로 나섰고, 만공,한암,효봉 등의 스님들은 여전히 산중에서 참선수행에만 정진하고 있을 때에, 이 세분 스님은 시정(市井)에 뛰어들어, 어둠 속에서 범부중생들과 더불어 함께 씨름하며 어둠을 밝히는 횃불을 높이 들었습니다.

그러한 세 분 스님 가운데 한 분이신 박한영(朴漢永 : 1870~1948)스님은 선암사의 금봉스님, 화엄사의 진응스님과 더불어 근세 한국불교의 3대 강백(講伯: 요즈음 말로 유명 강사 )으로 손꼽히는 어른으로서, 선사로 널리 알려진 만암스님,청담스님,운허스님,경보스님 등이 모두 이 석전스님의 제자입니다. 오늘날의 불자들이 큰스님으로 우러러 보는 백양사의 서옹스님과 성륜사의 청화스님은 만암스님의 제자이니, 석전 스님의 법맥을 이어받은 스님들이십니다.
 

우리나라 불교 근대화를 이끌었던 선각자이자 석학이었던 석전 스님은 불교계뿐만 아니라, 학계에도 많은 제자들을 남기셨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사람들이 육당 최남선과 위당 정인보, 미당 서정주입니다. 이들이 근세 조선의 석학삼당(碩學三堂)으로 불릴 만큼 박학다식할 수 있었던 것은 모두 스승인 석전스님의 가르침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당대 조선 최고의 지식인이라고 자타가 공인했던 육당 최남선은 석전스님의 한시(漢詩)를 모은 <석전시초 石顚詩抄> 발문에서, “석전사(師)를 만나매, 내전이고 외전이고 도대체 모르는 것이 없을 만큼 박식했다. 나는 누구에게도 물어볼 것이 없는데, 석전선생에게는 물어볼 것이 있다”고 고백했습니다.

위당 정인보도 <석전산인 소전 石顚山人 小傳>에서, “한영과 함께 길을 갈라치면 한국 땅 어디를 가나 그는 모르는 것이 없다. 산에 가면 산 이야기, 물에 가면 물 이야기---, 이른바 사농공상(士農工商) 무엇에 관한 문제를 꺼내든지 화제는 고갈될 줄 몰랐다.” 고 술회했습니다.

항일학생운동으로 말미암아 서울중앙고보와 고창고보에서 퇴학당하고 방황하던 자신을 중앙불교전문학교 제자로 받아들여준 석전스님에 대해 미당 서정주는 “나의 뼈와 살을 데워준 스승”이라고 부르며 평생 존경의 마음으로 모셨다고 합니다.

석전 스님은 만해 한용운을 비롯해 정인보, 오세창, 이동영, 이능화 등 당대 최고의 지성인들이 정신적 스승으로 모셨던 인물이며, 만암, 청담, 운허, 운성, 운기, 남곡, 경보 스님 등 출가자와 이광수, 서정주, 신석정, 조지훈, 모윤숙, 김동리, 조종현, 김영수 등 내로라하는 문인들도 모두 석전 스님의 제자였습니다.

석전 스님은 1870년 9월14일 전북 완주에서 태어났습니다. 어려서 부친을 여읜 스님은 아홉 살 되던 해부터 글을 배우기 시작해, 사서삼경을 통달하고 열여섯 살에 이미 서당의 학동들을 가르칠 만큼 배움이 깊었습니다.
1886년 17세에 출가해 승려로서 배워야 할 바를 익히기 시작한 스님은 1890년 장성 백양사 운문암 김환응 스님 문하에서, 그리고 1892년 당대 최고 강백으로 손꼽히던 선암사 김경운 스님에게 경학을 배우고, 건봉사와 명주사에서 여러 경전을 두루 섭렵하고, 구암사에서 설유처명 스님의 법맥을 이어받아 당호를 영호로 정했습니다. 이때 석전 또는 석전산인이라는 법호를 설유처명 스님으로부터 받았습니다. 이 법호는 일찍이 추사 김정희가 지기지우로 교유하던 백파스님에게 “훗날 법손 가운데 큰 도리를 깨쳐 나라의 기둥감이 될 재목이 나올 터이니 이 호를 전하라!”고 부탁하며 전하여 준 것이었습니다.
 
미당 서정주는 그의 글 <질마재 신화>에서 스승으로부터 들은 이 이야기를 다음과 같이 적었습니다. “지금도 선운사 입구에 가 보면 추사가 글을 지어 쓴 백파의 비석에는 대기대용 (大機大用)이라는 말이 큼직하게 새겨져 있습니다. 추사가 부탁한 법호 '석전 石顚'을, 백파가 생전에 누구에게도 주지 않고, 이 겨레의 미래영원에다 가만히 유언으로 써서 전하는 것을 알고 추사도”야! 단수 참 높구나! 하고 탄복한 것이겠지요.“
이 법호가 백파스님의 법손인 설유처명에게 전해졌다가 마침내 박한영 스님에게 전해진 것이니, 선운사 백파문중에서는 박한영 스님을, 추사가 생전에 말한 “큰 도리를 깨우쳐 나라의 기둥이 될 재목”으로 인정한 셈입니다.

석전 스님은 평생 4만 권에 가까운 도서를 구해 읽었다고 합니다. 지금도 선운사에 보존되어 있는 스님의 장서에는, 우리나라 고서를 비롯하여 중국 및 일본에서 출간된 서적들이 있는데, 특히 중국 청나라 말기의 사상가 담사동이 1896년에 저술하여, 1899년 일본과 중국에서 처음 출간한 <인학 仁學>을, 스님께서 1913년 번역해서 해동불보에 연재한 일은 스님의 독서량이 얼마나 많았는가를 알게 하는 증거이기도 하지만, 오늘날 우리나라 대통령 선거에 나선 박-문-안 세 후보가 모두 “국민과의 소통”을 역설하기 이전 이미 100년 전에, <인학>을 번역 연재하면서, 치세(治世)의 근본이 “인(仁)과 통(通)”이라고 역설하며 “불인(不仁)과 불통(不通)한 것은 제거해야 한다”고 하신, 스님의 천리안(千里眼)이 실로 놀랍습니다.

석전 스님은 옛어른들의 서책을 그 누구보다 많이 읽으셨지만, “옛 것이 훌륭하고 뛰어나지만 지나치게 옛사람의 학문을 숭상하는 것은 오늘을 낮추는 실마리가 되며, 오늘날 뛰어나고 생명을 이롭게 해주는 말과 글이 옛 사람보다 높은 경지에 이르렀어도 받아들이지 않는 것은 그릇된 것”이라며, 같은 시대를 살아가는 선지식(善知識)의 가르침 역시 잘 받들어야 함을 당부하기도 했습니다.

한편 석전 스님은, 기미년 독립만세행진이 전국적으로 벌어지고 있던 1919년 4월23일 인천 만국공원 집회에서 발족한 <한성임시정부>에도 주도적으로 참여할 만큼 항일독립정신이 강했습니다.
석전스님은 1908년부터 만해(卍海), 금파(琴巴)스님 등과 불교개혁에 나섰으며, 1910년 만해, 성월(惺月), 진응(震應), 금봉(錦峯)스님과 함께 임제종을 설립해 조선불교 정체성을 지키려 노력했습니다. 이는 당시 일제총독부가 일본의 조동종을 끌어들여 불교를 왜색화 하기 위해 진행했던 ‘불교통합정책’에 반대하며 진행했던 것입니다.
스님은 또 중앙불교전문학교 교장으로 재직하던 1933년, 일본이 강요한 천장절 기념 학교행사에서 연단에 올라, “아아! 그런디, 오늘이 바로 일본천황 생일이여. 그러니 잘들 쉬여”라고 한마디 하고는 바로 내려와 학생들이 폭소를 터뜨리게 하는 등 수시로 반일감정을 표현하기도 했습니다.

석전 스님은 단행본 형식의 역서와 저술 9권을 비롯해 100여 편이 넘는 논설과 수필을 남겼습니다. 이런 스님의 동-서양을 가리지 않는 방대한 독서와 글쓰기는 당대 한국불교와 겨레 현실의 어려움을 헤치고 미래로 나가기 위하여, 온 몸과 정신의 역량을 쏟아 붓는 열정과 염원의 기도이기도 했습니다.

그렇게 일기일회(一期一會)의 한 평생을 한국 불교와 겨레 사랑으로 일관했던 석전 스님은 1945년 일흔여섯 살에 이르러 주지 매곡 스님에게 “나 여기 세상 뜨려고 왔네”라며 정읍 내장사로 자리를 옮겼고, 조선불교 초대 교정(지금 조계종의 종정)으로 추대됐음에도 한 번도 산문 밖을 나서지 않은 스님은 1948년 4월8일 세속의 나이 일흔아홉 살, 법랍 예순한 살에 내장사에서 신병 하나 없이 좌선 입정하여 육신을 벗으셨습니다.



석전스님은 당대의 고승(高僧)으로 추앙받기도 했지만, 한편으로는 당대 지식인들이 큰스승으로 섬길 만큼, 동-서양의 학문에도 통달하셨고, 특히 우리 한겨레의 뿌리를 밝히는 한국학(韓國學)의 태두(泰斗)라고 불리었습니다. 스님은 실학을 집대성한 다산선생의 학문과 추사 김정희의 금석학(金石學)을 깊이 탐구했고, 이를 현장체험하기 위해 1924년 7월부터 제주도, 금강산, 호남지방 등의 명찰을 수차례 답사했고, 특히 한철학과 한국학의 본향인 백두산에는 일곱 번이나 올랐습니다. 스님의 백두산행에 수행한 최남선은 이 때 스님으로부터 그 누구로부터도 듣지 못했던 단군고사(檀君古史)와 동명고강(東明古疆)의 한겨레 강역(疆域)에 관한 가르침을 받았습니다. 후일 최남선이 고육지책으로 일제의 <조선사 편수작업>에 참여하는 한편으로는 일제의 조선사 편수 목적에 대항하는 <불함문화론>을 쓰게 된 바탕이 바로 석전 스님의 백두산 등정 강설입니다.
다음은 스님께서 백두산에 올라 읊으신 한시(漢詩)입니다.

曉日天池浴 효일천지욕 천지에서 몸을 씻고 솟아나는 새벽해
虹霓斷復連 홍예단복연 무지개는 끊어 질 듯 이어지고 있는데
光風吹瀨急 광풍취뢰급 햇살 실은 바람이 급한 여울처럼 불어오더니
蕩破西峯煙 탕파서봉연 서쪽 봉우리의 안개를 몽땅 쓸어버리는 구나.

아래는 스님께서 다산선생의 유적지를 탐사하며 남해안 일대를 답사할 때 다도해의 노을을 바라보며 읊으신 詩입니다.

多島亭亭映日斜 다도정정영일사 다도해 곳곳마다 노을 빛 쏟아지니
姻雲錯落似奇花 인운착락사기화 저문 구름 붉게 피어 한 송이 꽃처럼 지고
波光岸影隨帆轉 파광안영수범전 파도 빛과 뭍 그림자 돛배 따라 흐르니
身世蒼凉等落霞 신세창량등락하 이 내 몸 쓸쓸하여 저녁노을과 한가지네

다음은 석전 스님이 정읍 내장사에서 제자들을 가르치실 때의 일화입니다. 하루는 제자 하나가 스님께 못 보던 과자를 드렸습니다.
“그 과자 맛이 아주 좋구나.”
“그건 오징어를 다시마로 싼 것입니다. 오징어를 드셨으니 계를 범하셨지요. 바로 그 점에 대한 법문을 듣고 싶어 스님께 드린 겁니다.”
제자의 말을 듣고 스님은 미소를 지으며,
“오징어를 먹인 것은 너희들이니 계를 범한 쪽은 바로 너희들이니라.”
“그래도 잡수신 분은 스님 아니십니까?”
“허허, 어른이 갓난아이에게 뜨거운 인두를 덥석 쥐어주면 과연 누구의 잘못인고, 순진무구한 갓난아이의 잘못인고, 아니면 어른의 잘못인고?”

이같이 석전 스님은 쉬운 말로 지계(持戒)의 뜻을 일깨웠습니다. 지계는 깊은 사려를 포함합니다. 사려가 없는 사람은 자신의 욕심만을 채우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습니다. 계율은 건물의 기초와 같습니다. 수행의 근본이기 때문입니다. 석가모니 부처님은 “계율을 지키는 것은 아름답고 향기로운 꽃을 몸에 두른 것과 마찬가지다.”라고 말씀하신 바 있습니다.

'늙음을 허무하다고 하는 말은 죽음과 삶을 깊게 모르는 입에서나 나오는 법, 한지에 먹물 번지듯 햇살이 창에 들듯 죽음은 삶에 스며드는 법, 밝고 따스하게 스미는 죽음의 이치를 알고 나면 늙음도 더 이상 두려운 게 아니지, 죽음을 알고 나면 지혜로움만 남기에, 오히려 태평스러운 시간을 보낼 수 있다네!'

육당 최남선이 노년에 이른 스승 석전 스님으로부터 들었다고 전하는 스님의 생사관(生死觀)이 제 것이 되기를 발원하면서 글을 마칩니다.
추천0

댓글목록

친절한시선님의 댓글

친절한시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다산은 다산이고, 추사는 추사고, 백파는 백파라고 생각합니다. 더군다나 추사와 백파는 같은 생각을 공유했다기 보다 오히려 대립한 관계 아닙니까? 그들의 관계를 자세히 아는 것은 아닙니다. 저의 어렴풋한 기억엔 그렇게 남아 있습니다. 그들 셋은 동시대를 살았기 때문에 시대의 특징을 간파해 내는 탁월한 안목에서 서로 유사성이 있을 수는 있겠지요. 이때 그러한 유사성을 '실학'이라는 불분명한 개념으로 묶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왜 꼭 그래야만 하는가 하는 저의 질문에 맞서 그러지 말아야 할 이유는 또 무엇이냐고 반문할 수 있겠습니다. 이 자리에서 길게 설명할 자신이 없어 짧게 결론적으로만 두가지 써 봅니다.

첫째, 실학은 근대화를 이루지 못했다는 사실에서 느끼는 불필요한 역사적 열등의식 표명에 불과합니다.
둘째, 실학은 조선후기 비루하고 부정했던 환경 속에서도 깊이와 다양성을 유지한 '국학'의 가능성들을 실학적 관념 속으로 모조리 구겨 넣으며 정작 소중한 가치들을 잘라버립니다.   

제목과 첫줄에서 이 글을 올리신 의도가 저의 의문에 대한 답변을 위한 것이라 하셨더군요. 그래서 기대를 갖고 글을 읽었지만 저는 이 글 안에서 저의 의문점과 관계하는 부분을 발견하지 못했습니다. 

제가 국학에 대한 충분하고 적절한 지식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국학'의 중요성 자체에 대해서는 충분히 수긍하고 있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한겨레님의 윗글은 무척 흥미진진하게 읽었습니다. 뿐만 아니라 한겨레님께서 올려 주시는 지난 이야기들 대부분이 재밌습니다. 아쉬운 점은, 디테일만으로도 충분히 재밌을 이야기들에다 은근슬쩍 거대담론을 끌어다 붙이시는 것입니다.

윗글에서 제 의문의 답을 발견하지 못했다 하여 섭섭하지 않습니다. 외려 제 생각을 해 주신 것이 고맙습니다. 그 답례로 새로운 질문을 하나 담기겠습니다.

"...실학을 집대성한 다산선생..." <-------------- 이런 말 쉽게 툭툭 하셔도 되는겁니까?

  • 추천 1

한겨레님의 댓글의 댓글

한겨레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실학을 집대성한 다산선생
 

정약용은 학문의 목적이 나라의 부강과 일상의 실용에 있다고 보았다. 그리하여 그는 유학자는 추상적인 공리공담을 하는 것도 쓸모 없는 고증을 하는 것도 아니라, 시무에 밝아 실제적인 일을 처리할 수 있어야 한다고 말하였다. '실용지학', '이용후생'의 정신으로 과학 기술을 연구하여 실제에 적용하는 것이 선비들이 해야 할 진정한 학문이라고 여겼다. 
 그는 이익의 자연 과학 연구 성과를 계승하고 서구 근대 과학이 이룬 성과의 일부를 취하여 자기 연구의 토대로 삼았다. 이에 따라 '천원지방설(天圓地方說)'의 비과학성을 비판하고 지구가 둥글다고 하면서 '지전설'을 주장하였다. 또 그는 만조와 간조와 같은 현상, 우렛소리 등 자연 현상을 과학적으로 설명하고, 그것이 결코 신비적 현상이 아니라고 강조하였으며, 볼록 렌즈에 초점을 맞추면 불이 나는 현상도 물리학적으로 자세하게 설명하였다. 한강 배다리를 설계하여 공사를 완성시켰는가 하면, 수원성 축조법을 고안하고 여기에 기중기·활차·고륜을 이용하여 거액의 공사비를 절약하였다. 
 선진적 자연 과학 지식과 기술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정약용이 진보적 세계관을 형성하는 데 기본 바탕이 되었다. 그는 방대한 유교 경전들에 대한 이전 학자들의 비합리적인 주석들을 검토하였다. 실사구시의 입장으로 전면적인 검토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정약용은 유물론적 견해를 전개하였다. 정약용은 서경덕과 이익의 '기원론(氣元論)' 전통을 계승하고, 당시의 자연 과학 지식을 받아들여 유물론적인 자연관을 형성하였다. 
 정약용은 지행 문제에서 '지선행후(知先行後)'와 '행선지후(行先知後)'는 모두 한 측면만을 말한 데 지나지 않는다고 하면서 "명백하지 못한 것은 모르는 것이다. 모르기 때문에 실천하지 않으며, 실천하지 않기 때문에 명백하지 못하다."고 하였다. 여기에서 그는 지와 행이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서로 영향을 미친다고 강조한다. 먼저 알아야 실천하는 과정에서 더욱 잘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이같이 그는 지와 행의 통일을 주장하였다. 
 정약용은 인식론에서 긍정적인 견해를 내놓긴 했으나 관념론적인 요소를 완전히 극복하지는 못하였다. 그는 인간의 심을 육체적 기관으로서의 심과 사유 능력으로서의 심으로 구분하고, 사유 능력으로서의 심은 천부적으로 주어진다고 인정하였다. 특히 그는 인간의 도덕의식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실천을 중요시하면서도, 도덕 의식의 근본은 '천명'에 의해 심에 미리 주어진다고 생각하였다. 그의 윤리 도덕적 견해는 성리학적인 '인성론'에서 출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성적인 도덕 능력이 선천적으로 주어진 것으로서 본래 선하다고 보았다. 
 사람의 성이란 하늘이 준 것으로 영명하고 형체가 없으며 선과 덕을 좋아하고 악과 더러운 것을 싫어한다고 하였다. 기질도 본연에 속하므로 사람들은 성에 차이가 나는 것이 아니라. 후천적인 교육의 정도와 교양에 따라서 차이가 생긴다고 보았다. 그는 또 이전의 성리학자들이 '성(性)'의 품계를 정해 '상지(上智)'와 '하우(下愚)'로 구분하는데 반대하고 사람들의 성에는 품계가 없다고 하였다. 
 정약용은 사람에게 성이 선천적으로 구비되었다고 보기는 하였지만, 성리학자들처럼 인·의·예·지의 도덕 규범이 사람들의 마음속에 미리 구비되었다고 본 것이 아니라, 이성 도덕 능력만 선천적으로 구비되어 있고 구체적 도덕 규범은 도덕적 실천이 있은 다음에 생긴다고 보았다. 그러나 도덕이 이루어질 가능성은 '인성'에 선천적으로 구비되었다고 인정한 것이므로 관념론에서 완전히 벗어난 것은 아니다. 
 실제로도 정약용은 삼강오륜을 바탕으로 한 봉건 도덕 질서와 가부장적 종법 제도를 옹호하고 합리화하는 입장에 서 있었다. 정약용의 철학 사상에는 일부 무신론적인 부분도 들어 있다. 그러나 무신론적 사상은 완벽하지 못했다. 그는 비록 잡다한 미신과 잡술에 반대하면서도, 권력 있는 제왕이나 홀로 거처하는 학자들의 행동을 경계하기 위하여 상제나 귀신같은 존재를 허용하였다. 그러나 그가 상제나 신을 설정한 것은 어디까지나 신을 통하여 통치자들의 전횡을 억제하려는 데 목적이 있었다. 
  
  
사회적으로 안정되지 못했던 시기의 인물인 다산 정약용은 오늘날에 와서도 높게 평가할 만한 많은 일을 했다. 그의 여러 사상들 중에 가장 으뜸으로 뽑을 수 있는 실학사상만 보아도 그러하다. 봉건적인 제도의 폐해와 통치자들의 사대주의를 비판하고 애국적이며 진보적인 사회개혁안을 제시하고, 조선 봉건 사회의 무너져가는 정치·경제 등의 제도와 고루한 유교사상을 폭로하기도 했다. 이는 다산이 백성이 전시에 자신의 생명과 재산을 수호할 것이라는 '자기 보위'사상을 제기하였고, 또 그것을 상술한 '여전제' 실시와 결합시켜 '병민 일치'·'병농 일치'를 실현하는 것이 효과적인 방도로 생각했다는 점에서 볼 수 있다. 
 다산은 훗날 개화사상과 애국계몽운동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는 등 자본주의적·민주주의적 사회형태를 예견하는 자산계급 계몽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친절한시선님의 댓글

친절한시선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마지막 단락은 그 문제성이 매우 심각할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이 임진왜란 이후 조선의 사상사를 실학이라는 소설로 뒤집어 씌우기 위해 창작한 플롯의 골자입니다. "그의 여러 사상들 중에 가장 으뜸으로 뽑을 수 있는 실학사상만 보아도 그러하다." 라는 문장을 은근슬쩍 끼워 넣었어요. 당장 조선에 '봉건시대'라는 것이 존재했었는지도 의문점입니다. 그 실존이 불분명한 두 개념인 조선의 봉건 vs 실학은 관념속에서는 반드시 적대적 공존관계를 갖습니다. 실학을 실존했던 어떤 것으로 주장하려면 반드시 봉건이 그 대척점에 있어 주어야 하지요.

소위 국학을 주장하는 식자들이 자주 저지르는 모순은 이런 것입니다. 3천년이니 6천년이니 전의 고증하기 어려운 역사는 한단고기 등의 사료들을 추켜 세우며 거대하게 포장하기 급급합니다. 반면, 당장 우리 가까이에 있어서 충분히 합리적인 논거를 확보할 수 있는 역사 앞에서는 '자기 관념' 속에 스스로를 가둡니다. 조선말 선각자들이 갖고 있었던 세계사에 대한 통찰과 인식의 스케일은 매우 치밀하면서도 광활합니다. 더군다나 실천적이기 까지 합니다. 실학사상은 서구 근대화에 대비시키기 위해 만들어 놓은 가공의 틀에 불과합니다. 그리고 우리의 선조 선각자들이 지녔던 세계에 대한 위대한 감수성들을 그 틀의 모서리로 썩뚝썩뚝 잘라내어 틀 속에 남은 것만 취합니다. 주기론적 당위성을 주장하면서도 자신의 현재적 위치는 주리론자들의 실세에 흡수되던 후기조선 선비들의 모순된 습성이 21세기 한국에도 그대로 남아 한겨레님을 미혹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요.

다산 정약용 선생님은 철저한 성리학자입니다. 실학 같은 것을 집대성 한 적이 없습니다. 저는 다산 선생님이 실학 꼭둑각시로 언급되는 부분에 늘 비감을 느낍니다.     

한겨레님께서 베리에 글을 남길 때는 분명 뜻하시는 바가 있을 겁니다. '국학'의 살아 있는 주체가 되어야 할 후학들에게 진정 애정이 있으시다면, 논거를 갖추는데 좀 더 치밀하고 진지한 노력을 기울여 주십사 부탁드립니다. 그 노력 자체가 저희에겐 소중한 귀감이 될 것입니다. 그러다가 어떤 내용이 좀 틀린 들 어떻습니까. 어차피 전문 사가가 아닌 이상 오류는 있을 수도 있지요. 

그런 의미에서 한 번만 더 여쭙겠습니다.

윗글에서 다산 정약용이 실학을 집대성하였다는 내용이 설명되어 있는 부분은 어디에 있는지요?

  • 추천 1

Neurochirurgie님의 댓글

Neurochirurgie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

구글 검색해보니 제일처음으로 보이는게 실학을 집대성한 다산 정약용인데
친시 님께서는 무슨근거로<다산 정약용 선생님은 철저한 성리학자입니다. 실학 같은 것을 집대성 한 적이 없습니다. 저는 다산 선생님이 실학 꼭둑각시로 언급되는 부분에 늘 비감을 느낍니다.    >  라고 말할수 있는지요? 전공이 조선역사였나요?

  • 추천 2
[자유투고] 자유·토론게시판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조회 날짜
98 한겨레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936 11-10
97 한겨레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10 09-14
96 한겨레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650 06-30
95 한겨레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266 06-12
94 한겨레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891 06-05
93 한겨레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024 03-30
92 한겨레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472 08-18
91 한겨레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56 09-30
90 한겨레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368 08-11
열람중 한겨레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07-16
88 한겨레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50 07-08
87 한겨레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949 06-28
86 한겨레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3 06-26
85 한겨레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695 06-24
84 한겨레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06-19
83 한겨레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609 06-14
82 한겨레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571 06-06
81 한겨레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140 03-31
80 한겨레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2520 01-24
79 한겨레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3174 02-07
게시물 검색
이용약관 | 운영진 | 주요게시판사용규칙 | 등업방법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무단수집거부 | 비밀번호분실/재발급 | 입금계좌/통보방법 | 관리자문의
독일 한글 미디어 베를린리포트 - 서로 나누고 돕는 유럽 코리안 온라인 커뮤니티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